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gement) 과 관련해서 나오는 용어들 중에 APDEX라는 것이 있다. 보통 서비스 품질이라는 것은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IT 부문과 IT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사이에 반응 시간 (Response Time) 등의 수치적인 지표를 이용해서 서로 수용 가능한 조건에서 이해하고 이용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
ITIL (IT Infrastructure Library) 에서는 이런 기준이 될 수 있는 지표들을 IT 부문이 관리하는 IT 기반의 기술적인 관점에서 측정 및 관리하려고 하는 반면에 “업무나 사용자 관점에서도 이런 지표들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사고방식에 근거해서 나오는 서비스 관리를 APM이라고 할 수 있고, 이 APM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APDEX (Application Performance inDEX) 라는 지표를 이용해서 “사용자 시점의 IT 서비스 관리가 ITIL 과 같이 표준 프로세스화 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하고 이것을 추진하는 사람들이 모인 Apdex Alliance 라는 그룹이 미국에 등장했다.
업무나 사용자 관점에서 IT 서비스 관리를 비즈니스 서비스 매니지먼트 (BSM - Business Service Management) 이라고 표현하고 이를 위해서는 ITIL 과점의 기술적인 서비스 매니지먼트 (TSM - Technical Service Management) 에 융합시켜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소개하고 있다.
그럼 Apdex Alliance 가 주창하고 있는 Apdex 지표는 무엇일까?
Apdex 란?
Apdex는 제공되는 IT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수치적인 지표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된 데이터에 대해서 0 (불만족) ~ 1 (만족) 사이의 만족도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이 지표는 사용자가 실행하는 업무 (Task 라고 표현) 에서 측정된 각 반응 속도 (Response Time)을 0 ~ 1 사이의 값으로 수치화 한다. 반응 속도라고 하는 것은 결국 사용자가 화면을 클릭해서 작업을 시작하고 결과가 사용자의 눈에 보이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런 관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작업에 대해서 IT 서비스가 만족되는 범위내에 있는지 또는 만족할 수 없는 수준인지를 Apdex Score 하는 지표를 사용하여 수치화하고 관리해 나가자는 것이다.
Apdex Score 란?
수치화 방법은 아주 간단하게 표현이 가능하다.- 만족 S (Satisfied) - 사용자가 업무 처리를 수행하는 전혀 문제가 없는 T (허용 기준 치) 초 미만의 수치
- 허용 T (Tolerating) - 사용자가 업무 처리를 수행하는데 느리다는 느낌을 받기는 하지만 처리는 수행 가능한 상태로 T 초 이상 F (허용 불가 기준 치로 보통 T의 4배) 초 미만의 수치
- 불만 F (Frustrated) - 사용자가 업무 처리를 수행하는데 도저히 처리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상태로 F 초 이상의 수치
Apdex Score 의 산출 방법은 계측 시간 동안에 측정된 각 업무 처리를 만족/허용/불만족 으로 분류하고 각 수치를 아래와 같은 계산식에 적용하여 구하게 된다.
Apdex Score = ((전체 작업 중에 만족한 횟수 * 1) + (전체 작업 중에 허용 횟수 * 0.5)) / 전체 작업 수
위의 계산을 거치면 0 ~ 1 사이의 수치가 나오게 된다. 0 이라는 말은 전체 작업이 모두 불만족 상태라는 것이고, 1 이라는 말은 전체 작업이 모두 만족하는 상태라는 것이다. 만일 모든 작업이 허용 상태였다면 0.5의 값이 나오게 된다. 예를 들어 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어떤 작업을 100번 실행했을 때 T 를 3초라고 하면 F 는 12초가 된다. 작업이 T 미만이 60개, T 와 F 사이가 30 개, F 이상이 10 개 였다고 하면 Apdex Score = ((60 * 1) + 30 * 0.5)) / 100 = 0.75 가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계산된 결과보다도 "T 와 F 의 기준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가 된다. 이 값은 실제 각 업무와 사용자 부서등의 단위로 세분화가 필요하다. Apdex 에서는 F 를 T 의 4배라고 정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T의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왜 4배인지는 좀 더 관련 자료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T 를 정하는 기준이라는 것을 찾지는 못했지만 대략적인 값을 설정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사용자와의 협의 통해서 그 기준치를 점차 낮춰가면서 실제 적정한 값을 찾도록 해야 할 듯 하다. (예를 들면 3초 기준으로 했더니 모두 만족이지만 사용자 의견은 좀 느린 것 같다라면 2초로 낮춰서 다시 적용하는 등의 시행 착오)
이처럼 기준을 정해서 업무나 사용자마다 Apdex Score 를 계속적으로 관리하고 리포트를 구성하다보면 문제가 생기는 업무나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이를 기준으로 관련 IT 서비스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조사하는 것으로 어디서 지연이 발생하고 있었는지를 신속하게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SM 과 TSM?
TSM은 서버 관리나 네트워크 관리 등과 같이 IT Infrastructure를 구성하는 많은 기술들 (Firewall, IDS, LAN, Load Balancer, Web Server, Application Server, Database Server, SAN, Storage, Network, Virtual Machine, Virtual Resource Pool, ...) 을 각각 바라보는 것이고, BSM 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업무 처리가 어떤 기술들을 거쳐서 결과가 도달하게 되는지를 바라보는 Flow로 보는 견해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TSM 은 Vertical 로 BSM 은 Hotizontal 관리라고 표현된다. 결과적으로는 종/횡으로 매트릭스가 그려질 수 있고, 종/횡으로 모두 문제라고 표현되는 곳이 존재한다면 그 것이 바로 문제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위의 그림과 같이 TSM 기준의 12 개 기술 요소는 특별한 이상이 없다. (각 1개의 붉은 색만 존재) 그러나 BSM 기준의 Task B 는 여러 개의 붉은 색이 존재하여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업무 처리 만족도가 나쁘게 나타나고 있다.
Apdex 의 목적?
지금까지 알아보았던 방식으로 IT 서비스에 대한 계량적 수치가 가능하면 IT 부문과 사용자 부문의 합의가 좀 더 쉬울 것이다. 물론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T를 제대로 정하지 못하면 이런 것도 무의미하기는 하다.우선 대략적인 목표를 정해서 수치화하는 작업을 여러 번 진행해서 정상적인 경우의 Apdex Score 가 0.9 정도가 유지되는 값을 찾아내고, 그 값을 기준으로 BSM 을 실시하여 Apdex Score rk 현저하게 떨어지는 시간대가 있다면 그 시간대에 TSM을 실시하는 등의 관리 룰을 정할 수 있다. 물론 시간대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몰리는 시간 (주로 월 결산 등) 에 따라서 측정과 관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Apdex 의 진정한 목적은 업무의 차이나 사용자의 차이 및 IT 서비스의 차이나 지역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0 ~ 1 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척도를 기반으로 해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만족도의 격차나 전환을 잡아내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TSM 과 BSM 을 진행하여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