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에서 손 쉽게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데는 톰캣(Tomcat)이 많이 사용되는 것 같아서 초보자의 입장에서 정리해 보도록 한다.
톰캣은 웹 컨테이너 (Web Container) 로 웹 서버안에서 Servlet 과 JSP 를 지원한다. 물론 이런 웹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웹 서버 프로그램은 다양하다. 그 중에서 무료이고 많이 사용하는 것이 Tomcat 이다. 톰캣이 구동되기 위해서는 JDK/JRE 가 필요하며 JAVA_HOME 설정이 존재해야 한다.
환경변수 설정
이미 JDK/JRE 는 설치되었다는 전제하에 기본 환경변수를 설정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내 컴퓨터나 내 PC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속성 > 고급 시스템 환경” 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환경변수” 버튼을 누른다.
환경변수 창에서 "시스템변수" 항목의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서 새로운 시스템 변수를 생성한다.
이름은 "JAVA_HOME" 으로 하고 값은 JDK 가 설치된 경로를 설정한다. 설치된 JDK 버전과 시스템 유형 (x86, x64) 에 따라서 설치된 경로를 지정한다.
"확인" 버튼을 눌러서 생성하고 "사용자 변수" 항목에서 "path"를 선택하고 "편집" 버튼을 누르거나 더블클릭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path 변수는 사용자와 시스템에 양쪽에 존재하므로 아래와 동일하게 구성하도록 한다)
이미 존재하는 값들 뒤에 ";" 를 붙이고 "%JAVA_HOME%\bin;" 을 추가한다. (사용자 및 시스템 path 에 모두 적용)
이번에는 다시 "시스템 변수" 항목에서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르고 "CLASSPATH" 라는 변수에 "%JAVA_HOME%\lib" 값으로 새로 생성하도록 한다.
이제 기본적인 환경 변수의 설정이 완료 되었으므로 아래와 같이 CMD 창에서 환경 변수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해 보도록 한다.
위와 같이 설정된 JAVA_HOME 의 경로 값과 javac 가 오류 없이 실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다시 한번 환경 변수 설정을 점검해 보아야 한다.
Tomcat 설치
톰캣은 이클립스를 통해서 (정확하게는 Dynamic Web Project 템플릿을 통해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별도로 톰캣을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진행하도록 한다.
우선 http://www.apache.org 에 접속하고 웹 페이지를 아래쪽으로 스크롤해서 내려가다 보면 "Projects" 항목 밑에 "Tomcat" 링크가 존재한다. 이 링크를 선택하도록 한다.
톰캣 프로젝트 페이지의 왼쪽 메뉴들 중에서 "Download" 에 여러 가지 버전이 존재한다. 원하는 버전을 다운로드 하면 된다. 여기서는 Tomcat 7.0 버전을 선택하였다. 톰캣은 설치 버전과 압축 파일 버전이 존재하는데 별도의 설치 없이 압축된 버전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다운로드한 압축 파일을 원하는 폴더에 풀고, 사용자 환경 변수의 "path" 에 톰캣이 운영될 경로를 추가해 주도록 한다.
톰캣의 기본 설정은 이렇게 처리하면 된다. (설치 버전에서는 포트 번호 등의 톰캣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모두 설정하지만 압축 버전은 단순히 실행정보만 설정하고, 나머지는 이클립스 설정을 통해서 처리하면 된다.
이클립스 서버 설정
이클립스 JEE 버전을 실행하고 프로젝트 탐색기에서 빈 공간을 선택한 후에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New > Other" 를 선택한다.
"마법사" 창에서 "Server > Server" 를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누른다.
"서버 정의" 창에서 설치된 톰캣 버전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누른다.
기본 설정은 위의 그림과 같다. 만일 톰캣의 설치 경로가 다른 경우이거나 또 다른 설정이 필요한 경우는 위의 그림 아래쪽의 빨간 박스에서 "Add" 버튼을 눌러서 톰캣 경로를 변경할 수도 있고 "Download and Install" 버튼이 제공되므로 여기서 직접 톰캣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환경적인 설정이 필요한 경우라면 "Configure runtime environments" 를 눌러서 톰캣의 실행환경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Finish" 버튼을 누르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새로운 톰캣 운영을 위한 서버 정보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마지막으로 톰캣의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설정하면 된다.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server.xml" 을 더블클릭하여 파일을 열어보면 오른쪽에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창이 열린다. "Connector" 태그를 찾아서 뒤에 URIEncoding="UTF-8" 을 추가해 주도록 한다.
설정한 톰캣 서버의 동작 (시작/종료)는 이클립스의 소스 창 아래쪽에 위치한 (이 위치는 사용자 변경할 수 있다) "Servers" 탭에 추가된 서버 정보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측 버튼에서 "Start 또는 Stop" 을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다.
테스트는 Dynamic Web Project 를 하나 추가하고 서버 정보를 위에서 설정한 Tomcat 7.0 으로 설정한 후에 JSP 파일 하나를 샘플로 만들고 WAR 파일 배포를 설정한 후에 해당 jsp 파일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누르고 "Run As" 를 선택한다.
"Run On Server" 창에서 위에서 설정한 Tomcat 7.0 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누른다.
이제 이클립스의 소스 창에 Web Browser 가 생성되면서 실행된 결과를 볼 수 있다. 만일 소스 창이 아니라 별도의 Browser에서 확인하고 싶은 경우는 "Window > Web Browser > Internet Explorer" 를 선택해 놓으면 된다. 아래는 실제 구동된 브라우저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생략된 웹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에 언급할 Spring Framework 사용하기 게시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