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MSDN Blog + 개인적인 의견 (?)
마이크로소프트가 올해도 어김없이 2013년 IT 동향을 발표하였다.
작년 IT 동향은 “디바이스 + 서비스”, “앱, 웹”, “플랫폼 + 에코시스템” 의 세 가지 주요 동향을 소개 했었다. 2013년은 지금까지 동향 수준에서 논의된 개념들이 실제 시장에서 실효성이 있는지를 검증 받는 시작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시장의 상황이 당면한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법이 없이 상상 속의 혁신은 더 이상 존속될 수 없기 때문에 2012년에 발표한 3 가지 줄기와 8 가지 요소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빌리티 / 클라우드 / 소셜 / 빅데이터 라는 큰 관점에서 시장 동향을 요악하고 실제 다양한 조직에서 이런 상황에 무엇을 어떻게 도입하여야 하는지와 고려사항들을 5 가지의 시나리오로 요약하여 PSA (Platform Strategy Advisory) 프로그램으로 제공하고 있다.
(발표 자료 원본: http://www.slideshare.net/JaeWooKim/it-trend-2013-and-scenario )
멀티스크린 모바일 플랫폼
현재 환경으로 보면 정보 관련업에 종사하는 인력들 중에서 95% 는 작업을 위한 장비를 최소한 하나라도 스스로 구매한다. 그리고 80% 는 사무실 이외의 장소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주당 3 ~ 4일은 모바일 / 스마트폰을 통해서 정보를 얻고 있다.
멀티스크린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양한 기기를 통해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미 여러 가지 단말 기기 뿐만 아니라 SmartGlass 등도 새로운 단말 기기로서 각광을 받는 시점이 되었으며 멀티스크린 구현은 디바이스 + 서비스의 연동 개념으로 구성된다.
하이브리드 앱은 HTML5 기술과 자체 OS 제공의 구성이고, 디바이스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HTML5 도 모바일 앱 개발에서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으며, 2012년에 79%의 모바일 개발자들이 앱 개발에 HTML5를 활용하고 있으며, 앱 중에 HTML5 의 코드 사용도는 50% 미만이며, 순수 HTML5 만으로 개발된 앱은 6% 정도가 되고 있다. 윈도우 8 에서는 HTML5 가 모든 형태에서 응용되고 있다.
MS 의 입장에서 바라본 멀티스크린 모바일 플랫폼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멀티스크린 모바일 플랫폼 아키텍처 - 디바이스 + 서비스 아키텍처, 앱 로밍 환경, 클라우드 통합 문제
- HTML5 - 기술 요약, 멀티스크린 및 멀티디바이스 앱 플랫폼으로 현실성, 시장 상황, 개발자 생태계 고려
- 윈도우8 - 멀티스크린 및 멀티디바이스 관점에서 플랫폼 아키텍처, HTML5 및 모바일 컴퓨팅 지원
기업전용 앱 스토어 와 비즈니스 앱
모든 사용자는 일상 생활과 일이라는 두 가지 이중성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서 플랫폼도 일반 소비자형 앱 생태계와 기업형 앱 생태계는 충돌할 수 밖에는 없다.
또한 일반 소비자 생태계와 기업형 생태계는 앱 환경과 개발 생태계 사이의 이질성과 통합도 필요하다.
이런 이중성을 멀티스크린 앱으로 이중성을 통합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Apps = Views + Services
또한 이동형 비즈니스 앱을 응용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연동은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런 이중성을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테블릿 PC 등을 활용한 LOB (Line - Of - Business) 연계를 운영하는 것이다.
위에서 알아본 멀티스크린 구성 (Device + Services) 에 이중성과 이동성을 지원을 포함하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구성을 모색하여 플랫폼 전략화된 것이 윈도우8 이다.
이중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은 단순히 디바이스만의 문제는 아니다. 결국은 이중성의 각 영역에 해당하는 상황에서 제대로 인프라가 구성되어야 만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일반 소비자를 위한 앱 스토어는 이미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 전용 앱 스토어와 비즈니스 앱에 대해서는 다음의 사항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 기업용 앱 스토어 - 기업에 필요한 것들을 제공하기 위한 통합 앱 스토어 기술, 시장 전망과 아키텍처 구성
- 비즈니스 앱과 이동형 멀티스크린 환경에서의 보안 - 비즈니스 태블릿 관점의 윈도우8 아키텍처와 LOB App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와 이해, 내 / 외부 SNS 연동을 고려하여 인증체계를 포함하여 디바이스에서 서비스에 이르는 다층적인 보안 문제
- 기업 환경을 위한 모빌리티 문제 - 기업의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 디바이스 + 서비스 아키텍처, 앱 로밍 환경, 클라우드 통합 문제
클라우드 컴퓨팅
멀티스크린 모빌리티 환경에서 클라우드 연동은 기본적인 사항이며 각 분야별 하이브리드 방식의 클라우드 서비스의 구현이 필요하다.
금융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응용들이 필요하다.
- Sales + Service - Advisory Service, Customer and Claims Servicing, Market Data Services, Digital marketing
- Risk Management + Analysis - Risk Analytics, Management & Modeling, Business Intelligence
- Operations - Core Banking, Document & Record Compliance, Trading, Disaster Recovery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응용들이 필요하다.
- Digial Content Management - Workflow & Collaboration, Search & Indexing, Digital Asset Management, Content Processing
- Media Business Management - Ad Sales (CRM / XRM), BI / Analystics, ERP, Editorial Collaboration
- Digital Marketing & Experiences - Online Video, Digital Publishing, Dynamic Websites, Search & Recommendation
제조 및 자산 관리 분야에서는 다음과 같은 응용들이 필요하다.
- Innovation Management - Analysis and decision making, Design Software and Services, Connected Device
- Operations & Supply Chain -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PLM), Global Operations, Sustainability
- Sales & Marketing - Product Marketing (Focusted test and trials), Customer Order Management, Social Enterprise
클라우드 구성을 위한 아키텍처와 패턴들을 조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관련 전문가가 필요하다.
즉, 클라우드 컴퓨팅의 실용성과 확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토와 자문이 필요하다.
- 활용 시나리오와 아키텍처 구성
- 클라우드로의 이전과 신규 서비스 개발 시 안전한 아키텍처에 대한 설계 수준의 논의와 타당성 검토
빅데이터 와 BI
이미 시장에서는 기기의 폭증 (특히나 스마트 폰 등) 은 결국 통신량의 폭증을 유발하였고, 통신량의 대부분은 SNS 와 같은 비 정형 데이터의 폭증을 유발하고 있다.
실례로 기업들의 65%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Social software 를 배포하고 있고, 매일 평균 4개의 사용자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조직의 84%는 원격 작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의 44% 는 Social Media 를 접하고 있고, Social Media 를 통한 1시간 이내에 20%의 응답을 예상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런 막대한 양의 데이터들이 그냥 단편적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서 버려지기 본다는 오히려 생생한 데이터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추정이나 추세 등을 읽어 보려는 시도들이 빅데이터 시장을 열기 시작했다.
이미 시장에서는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많은 기업에서 관련된 서비스와 활용을 하고 있다.
빅데이터 생태게 확산을 위한 개방형 모형은 다음과 같다.
빅데이터를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면밀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 원천 데이터의 특성, 수집, 축적, 활용에 대한 이해
- 구체적인 활용 방안
- 데이터의 관리, 정제, 해석에 따른 단계별 실현 방식
- 단계별 전문가 집단의 확보와 조직
-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 플랫폼 이해와 활용
- 설계 및 구현 방식 논의
플랫폼 과 에코시스템 전략
플랫폼과 에코시스템 전략을 논하기 위해서는 위의 그림과 같은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지금까지의 IT 환경과 현재 및 미래의 환경적인 변화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각각 따로 의미를 가지는 전통적인 IT 산업이 아닌 기술 / 소비자 / 기업 / 개발사 / 서비스 사업자 들이 모두 연결된 생태계를 플랫폼 기반으로 구성해야 하는 시점인 것이다.
의료 산업 분야에서 플랫폼과 생태계 전략의 활용은 결국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플랫폼 중심의 생태계 모형을 서비스로 구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서로의 시스템 간에 긴밀하게 연계된 구성을 의미한다.
플랫폼을 중심으로 접근법은 애플리케이션과의 연계, 정보의 공유, 정제되고 분석된 데이터의 접근 관리, 개인의 다양한 관리 기기와의 정보 연동 등을 묶어 주는 형식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플랫폼 (기기 + 서비스) 은 다른 영역의 시스템과 연계되어 생태계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플랫폼과 소프트웨어 생태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 생태계 전략 관점의 IT 역사와 현재 생태계 전략 전술 방식
- 깊이 (Vertical) 중심, 넓이 (Horizontal) 중심의 생태계 개발 모형
- 생태계 진화에 따른 유지 관리 방식
- 생태계와 플랫폼 비즈니스 설계를 위한 기본 요소
-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자 생태계와의 관계
- 사업 추진을 위한 조직 구성의 문제
현재 발표된 자료만을 기준으로 나름대로 의역과 개인적인 생각을 포함하여 정리해 보았다. 아직도 개념적인 내용이기는 하지만,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는 것에는 많은 도움이 될 듯 하다. 2013년이 이런 것들의 실제적인 모양들과 사업의 시작 원년으로 보아야 할 듯 하다. 외국에는 어떤 상태까지 구체화 되어 있을지는 모르지만…
댓글
댓글 쓰기